생존

심장충격기(AED) 비치되어 있는 장소 총정리

실용의신 2025. 4. 18. 06:30

❤️ 심장충격기(AED) 비치되어 있는 장소 총정리

AED(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, 자동심장충격기)는 심장이 갑자기 멈췄을 때 전기 충격을 줘 심장 리듬을 되살리는 생명구조 장비입니다.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4분 안에 CPR 및 AED 사용 여부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.

이 글에서는 일상생활 속에서 AED가 비치되어 있는 대표 장소를 알려드리고, 비상 시 위치 확인 방법도 함께 안내합니다.

---

🏥 1. 병원 및 보건소

  • 🩺 모든 종합병원 및 응급의료기관 필수 설치
  • 🏥 일부 개인 병·의원, 보건지소, 요양시설 등에도 설치됨
---

🏛️ 2. 공공기관 및 지자체 청사

  • 🧑‍💼 시청, 군청, 구청, 주민센터, 세무서 등
  • 📌 민원실, 1층 로비, 안내 데스크 근처에 주로 위치
---

🏫 3. 학교 및 교육기관

  • 🏫 초·중·고등학교, 대학교, 도서관 등 교육시설
  • 📘 보건실, 체육관, 행정실 인근에 설치된 경우 많음
---

🚇 4. 지하철역 및 역사

  • 🚉 서울·부산·대구 등 주요 도시 지하철역 대부분 설치
  • 🧰 AED는 승강장 또는 역사 내 방재실, 고객센터 옆에 위치
---

🛫 5. 공항, 터미널, 기차역

  • 🛬 공항(인천, 김포 등)은 AED 필수 비치 대상
  • 🚍 고속버스터미널, 철도역에도 고객대기실/경비실 근처 설치
---

🏬 6. 대형마트 및 쇼핑몰

  • 🛒 이마트, 홈플러스, 롯데마트, 백화점 등
  • 📍 1층 고객센터, 보안실, 에스컬레이터 주변 등에서 발견 가능
---

🏢 7. 아파트 단지 및 공동주택

  • 🏘️ 500세대 이상 공동주택은 AED 설치 의무화 대상
  • 🧯 경비실, 관리사무소, 커뮤니티센터 등 위치 확인 필요
---

⚽ 8. 체육시설 및 공공 체육관

  • 🏟️ 실내 체육관, 헬스장, 수영장, 종합운동장 등
  • 🚨 운동 중 심정지 대응을 위해 필수 설치 권장
---

🎡 9. 다중이용시설 (영화관·공연장·놀이공원)

  • 🎬 대형 멀티플렉스 영화관, 테마파크 등 인파 밀집 지역
  • 📍 안내 데스크, 응급실, 보안실 인근 위치
---

📱 AED 위치 확인하는 방법

  • 📲 **보건복지부 ‘응급의료정보제공’ 앱 다운로드**
  • 📍 ‘AED 위치 찾기’ 기능 → 현재 위치 기반 검색 가능
  • 🧭 **NAVER/카카오맵**에서 “AED” 검색해도 주변 위치 확인 가능
---

✅ 결론

AED는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살릴 수 있는 골든타임 생존 도구입니다. 우리 주변에 이미 많이 설치되어 있지만, 비상시 어디 있는지 몰라 사용 못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
📌 핵심 요약

  • 🏛️ 공공기관, 학교, 병원, 지하철역 등 다중이용시설에 비치
  • 📱 ‘응급의료정보제공’ 앱 또는 지도앱으로 위치 확인 가능
  • ⏱️ 심정지 골든타임 4분 → 빠른 발견과 사용이 생명 좌우

“AED는 비상시 당신의 손이 생명을 살릴 수 있도록 준비된 도구입니다.” 평소 위치를 알고, 사용법도 함께 숙지해두세요.